AJCC STAGING (TUMOR-NODE-METASTASIS : TNM)
T(primary tumor), N(regional lymph nodes), M(distant metastasis) 개념에서 모든 암의 분포 양상을 포함하는 분류 체계의 개념은 1958년 전 세계적 사용을 위해 International Union Against Cancer, 또는 Union International Contre le Cancer(UICC)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for Cancer Staging and End Results Reporting(AJC)는 1959년에 설립되었다. AJC는 1980년에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AJCC)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병기 체계는 전통적으로 해부학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되었고, TNM 체계의 기초 전제로 사용되어졌다. 이 그룹은 1962년부터 1974년까지 부위 특정 병기 체계의 시리즈로 출판되었다. Manual for Staging of Cancer의 초판은 1977년 AJCC에 의해 출판되었다. AJCC에서는 5년 주기로 새로운 개정판을 발표하며 2002년까지 6판을 발표하였으며, 2009년에는 7년 만에 7판을 발표하였으며 2010년 1월부터 적용되고 있다.(참고문헌 : Edge SB, Byrd DR, Compton CC, Fritz AG, Greene FL, Trotti A.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cancer staging manual. 7th ed. Chicago: Springer, Inc; 2010.)
TNM 병기설정의 일반적 규칙
TNM 체계는 주로 원발 종양의 해부학적 범위, 국소 배액 림프절 상태와 원격 전이 유무에 따라 암을 분류하고 그룹화한다. 이 체계는 본질적으로 종양의 임상적 및 병리학적인 해부학적 범위를 기술하기 위한 간단한 표시법이다.
요약병기코드
T |
- T 요소는 원발 종양의 크기 또는 연접 확장으로 정의된다.
- T를 정의함에 있어 크기 요소와 연접 확대의 역할은 각 부위에 특이적으로 정의된다.
|
N |
N 요소는 국소 배액 림프절에서 암의 유무와 범위로 정의된다. 림프절 침범은 양성 림프절의 개수로 분류되며, 어떤 암 부위에서는 특정 국소 림프절 그룹의 침범으로 분류된다. |
M |
M 요소는 일반적으로 “국소”림프절로 정의된 림프절을 넘어 혈관 또는 림프관을 통하여 전파되는 위치에서의 원격 전파 또는 전이의 유무로 정의된다. |
밑의 표에서 제시된 대로 각 T, N, M의 값은 오름차순에 따라 진행성으로 더 넓은 범위를 가진 암을 표시한다.
어떠한 암 부위에서는 더욱 특정한 예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요 식별자의 세부 분류가 사용된다.
예1-유방암: T1mi, T1a, T1b, T1c 또는 N2a, N2b
예2-전립선암: M1a, M1b, M1c
각 암 유형에 대한 특이적 정의는 AJCC Cancer Staging Manual 7th메뉴얼의 각 암종별 내용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Primary Tumor(T)
Primary Tumor(T) |
T0 |
No evidence of primary tumor |
Tis |
Carcinoma in situ |
T1, T2, T3, T4 |
Increasing size and/or local extension of the primary tumor |
TX |
Primary tumor cannot be assessed |
Regional Lymph Nodes(N)
Regional Lymph Nodes(N) |
N0 |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es |
N1, N2, N3 |
Increasing number or extent of regional lymph node involvement |
NX |
Regional lymph nodes cannot be assessed |
Distant Metastasis(M)
Distant Metastasis(M) |
M0 |
No distant metastases |
M1 |
Distant metastases present |
병기분류
병기분류 |
cTNM(TNM) |
임상적 병기/치료 전 병기 |
pTNM |
병리학적 병기 |
ycTNM ypTNM |
치료 후 또는 술전화학요법 후 병기 |
rTNM |
재치료 또는 재발 분류 |
aTNM |
부검 분류 |